본문 바로가기
치위생과

[소아치료] 레진치료와 홈메우기(실런트)란?_정의, 차이점, 시기, 보험(급여)가능나이

by 룩말 2022. 12. 7.

레진치료와
치아홈메우기


아이들을 데리고 치과에 가면 가장 많이 받고 오는 진료가 레진치료나 치아홈메우기일 것이다.
이외에도 아래 앞니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치석을 제거하는 부분치석제거 등의 진료를 받거나 불소도포를 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소아진료인 레진치료와 치아홈메우기에 대한 정의와 차이점 그리고 적응증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치아홈메우기


치아홈메우기는 전문 용어로 Sealant(실런트)라고 부른다.
유치가 빠지고 맹출하는 영구치 특히 구치부(어금니)는 교합면(씹는면)에 소와(Pit)와 열구(Fissure)가 좁고 깊게 형성되어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치아의 마모로 인해 소와와 열구의 깊이가 감소하나 영구치가 맹출한 직후에는 그 틈으로 음식물 잔사나 치면세균막이 잘 끼일 수가 있는 반면 제거가 어렵다보니 우식(충치) 발생 위험이 높다.
치아에서 우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가 교합면의 소와와 열구 부위이기 때문에 실런트라는 재료를 이용해서 깊은 틈을 인위적으로 얕게 만들어줌으로써 우식발생위험을 감소시키는 술식이 치아홈메우기(Sealant; 실런트)이다.
단, 치아홈메우기는 우식이 진행되기 전에 시행하는 예방치료이므로 치아에 충치균이 없는 건강한 상태에서만 진행할 수 있다.

치아홈메우기 보험 적용 가능 조건

치아홈메우기는 만 18세 이하의 영구치 중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큰 어금니)에만 급여 항목으로 진료받을 후 있다. 따라서 유치 어금니가 빠지고 올라오는 영구치의 소구치(작은 어금니)는 홈메우기가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다. 간혹 어린이 치과에서는 소구치에도 비급여로 치아홈메우기를 권하기도 한다.


레진치료


레진치료는 레진(Resin)이라는 재료를 이용하는 치료이다. 레진이란 수복치료를 할 때 치아를 떼울 수 있는 재료 중 하나로 자연 치아와 색상과 투명도가 유사하여 심미성이 우수하며, 떼울 수 있는 재료 중에서는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레진치료는 충치균에 의해 이미 우식(충치)이 진행 중인 또는 진행된 치아에 시행하는 것으로, 손상된 치아 부위를 삭제한 후(갈아내고) 만들어진 와동(구멍)에 레진을 이용하여 와동을 메워서 다시 치아의 원래 형태대로 만들어주는 방법이다.

레진치료 보험 적용 가능 조건

레진치료는 만 12세 이하에게만 보험이 적용된다. 그리고 반드시 우식(충치)으로 인하여 레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급여항목으로 인정되며, 치아의 파절(깨짐) 로 레진치료를 하는 것은 비급여 항목이다.
보험레진은 하루에 최대 4개까지만 건강보험공단에 청구를 할 수 있으므로 우식 갯수가 많다면 치과에 여러번 내원하여 치료를 받아야 한다.
다만, 치아홈메우기처럼 특정 치아에만 보험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치아이던간에 영구치에 우식으로 인하여 치료가 필요하다면 만 12세 이하에 한해서는 보험 적용을 받아서 레진치료를 할 수 있다.

치아홈메우기와 레진치료의 차이점

치아홈메우기와 레진치료의 차이는 "예방인가" "치료인가" 이다.
치아홈메우기는 우식이 생기기 전에 시행하는 예방처치이고, 레진치료는 우식이 생긴 후에 시행하는 치료이다.

진료방법

치아홈메우기는 소와와 열구를 메우는 진료이므로 치아를 삭제하는 과정이 없다. 대신 시술부위에 치면세균막이 붙어있을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치면세마를 통해 교합면 부위를 깨끗하게 닦아내고 소와와 열구를 따라 전색재를 도포한다.
레진치료는 우식을 치료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식이 진행된 부위의 치질을 삭제하는 과정을 거친 후 와동에 레진을 충전한다.

진료를 받는 시기

치아홈메우기는 영구치가 맹출하여 잇몸까지 완전히 걷힌 이후 소와와 열구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해당 치아에 우식이 진행되어있지 않다면 진료가 가능하다.
레진치료는 치아가 맹출하고 난 이후 우식이 보이면 진료를 받으면 된다.

비전문가의 경우 구강이 어둡고 타액으로 치아가 덮여있으면 정확한 시기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가급적 3개월 단위로 치과 정기검진을 받고 필요한 처치를 즉시 받는 것을 권한다.

진료 후 주의사항

치아홈메우기는 치아의 삭제 없이 전색재를 도포하다보니 재료의 유지력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끈적거리는 음식(카라멜, 사탕, 껌 등)의 섭취는 피해야 한다. 그리고 우식발생위험을 낮추는 방법이지 우식이 진행되는 것 자체를 차단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정기검진을 받아서 전색재가 잘 유지되는지, 우식이 진행되지는 않는지 확인해야한다.
레진치료는 치아를 삭제한 후 충천하는 방법으로 강도 역시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레진치료 후에도 양치가 잘 되지 않으면 레진 주변으로 이차 우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이 필요하다. 또한 레진치료 후에는 약 일주일 정도는 색소에 의해 착색될 수 있으므로 색소가 진한 음식의 섭취는 피하는게 좋다.




#치과치료 #레진치료 #치아홈메우기 #실런트 #소아치료

댓글